Search

'study!!!'에 해당되는 글 2건

  1. 2014.05.19 20140519 - make파일이란?
  2. 2014.05.02 20140502 - 0429일 오전시간 복습!!!

20140519 - make파일이란?

study!!! 2014. 5. 19. 10:36 Posted by Owen.K


makefile이란?


make or build이라고도 한다.

make는 실행파일을 뜻한다. 빌드 툴로 분류된다.

어떠한 작업을 잘 완료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. 프로그램을 컴파일 하는데에 도움을 준다.

gcc -o main main.c

 main.c를 컴파일하여 main이라는 실행파일을 output한다. 

 

vi 편집기 단축키

YY : 한줄 복사

D + 아래방향키 : 해당줄부터 두줄 잘라내기

P : 붙여넣기



make main이라 치면

이렇게 나온다. 실행하고 싶은 이름만 치면 위처럼 자동으로 컴파일을 해준다.

cc는 바로가기 gcc와 cc는 같다. cc는 나에게 설치된 컴파일러 아무거나 써라.

gcc는 gcc컴파일러만 써라.



makefile 생성하는 법 



test: 라벨을 실행 시

  단어 앞에 @가 붙으면 단어는 출력이 되지 않는다.

tab    @clear는 화면의 모든 것을 클리어 시킨다. tab은 test라벨의 

     tab 안의 것들을 포함시키겠다는 의미.

tab    @echo는 echo 뒤의 글들을 출력한다. 

tab    @ls -al은 리스트 all 명령을 실행한다.

나름의 문법이있다.




make에서 실행 순서 

 



makefile은 실행순서를 알아두는 것이 중요하다. 저장 후에 라벨이름없이 make만 치면,

제일 첫 번째 라벨이 기본으로 실행된다. 여기서 첫 번째 라벨 옆에 test, smart와 같은 다른 라벨들을

적어 놓으면 적은 순서에 따라서 라벨들이 먼저 실행되고나서 첫 번째 라벨의 내용이 실행된다.


makefile에 대해




makefile을 이용해 중간파일 생성하기

CC=gcc는 makefile에서 변수 선언이다. 다른 언어들 처럼 변수선언을 할 때 타입을 적는 것은 

편견이다. 변수 이름은 CC이고, 변수 사용 시에는 $(CC)로 적어서 사용한다.

smart라벨에 위와 같이 적으면....음 이해할 수 있을거라 본다. 


'study!!!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20140502 - 0429일 오전시간 복습!!!  (0) 2014.05.02

20140502 - 0429일 오전시간 복습!!!

study!!! 2014. 5. 2. 09:16 Posted by Owen.K



unsigned char USART_RX()

{

while(0==(UCSR0A & (1<<RXC))); //읽을 값이 있을 때 까지 1이 될때까지

return UDR0;

//기능성 레지스터이고 

//cpu register 0~31까지의 주소 중 하나에 저장된다.

  //뭔가가 수신 버퍼 안에 들어있으면 while문 탈출 및 UDR0가 반환된다.

}

UCSR0A는 USART 주소값의 A레지스터 부분이고, RXC는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되면 완료 되었다는 신호를 보내기 위해 1의 값을 돌려주는 비트이다. ReadOnly라서 프로그래머가 건들 수 없다.

USRAT_RX로 입력 받은 것을 LCD_Data로 출력!! 하이퍼 터미널에서 글자를 입력하면 하이퍼터미널을 통해서 LCD에 글자가 전송된다.


실행결과



LCD폰트 

Character Generater Rom - CGROM을 활용한 폰트 입력



엑셀에서 폰트를 만들기 위해 원래는 8bit(가로) * 8bit(세로)이지만 안쓰는 비트 3개(가로) 64byte로

이루어져있다. 위 처럼 폰트를 만들고 해당 칸에 1을 넣어 비트로 계산해서 16진수로 만들면 

폰트 셋팅이 끝난다.   




우선 배열로 폰트자체를 담아준다. 하지만 아까도 말했듯이 배열크기는 64를 넘을 수 없다.

한 칸에 64byte이며 최대 8칸 까지 가능하다. ATMega(CGRAM)의 한계

반복문을 이용해 CGRAM에 폰트 위치들을 담고, LCD_Data를 이용해서 폰토 내용을 넣어준다.

LCD_Inst를 이용해 LCD화면 출력 위치 주소를 정해준다.

LCD는 2(줄)*16(칸)으로 구성되어 있는데

1줄은 0x80~0x8f까지 2줄은 0xc0~0xcf로 구성되어 있다.

CGRAM을 활성화 시켜서 담을 위치에 폰트들을 담는다.



실행결과


'study!!!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20140519 - make파일이란?  (0) 2014.05.19